Utility Token - ICO, IEO
특정 회사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토큰으로
이더리움의 Ether와 Gas의 관계처럼 수수료를 지불하는 방식등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
ICO(Initial Coin Offering)
사업자가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코인을 발행하고 활용도에 맞게 사용
투자자들이 기술의 가치, 시장 전망 , 회사의 가치 등을 고려하여 투자하고 회사에서는 투자의 보상으로 암호화폐를 지급
ICO를 진행하기 위해서
기업의 동기, 목적, 운영방식, 전망의 내용을 담은 백서(White paper)의 내용을 통해 초기 투자자를 모집하여 진행
판매처 : 암호화폐 사업자의 웹
판매 당사자 : 암호화폐 프로젝트 사업자
스카트 컨트랙트 관리자 : 암호화폐 프로젝트 사업자
상장 : ICO이후 상장될 수 있고 안 될 수도있음
※ ICO처럼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을 받고 새로운 코인을 발행하여 교환하는 자금 조달 방식은 투자자들에게 권한이나 정부의 규제가 없기에 먹튀하는 사례가 발생함
IEO(Initial Exchange Offering)
백서(White paper)만 제시하고 투자금을 유치하는 ICO와는 달리, MVP(Minimum Visible Product)까지 개발해 놓고 IEO를 진행
상장 후 투명한 공시를 통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자금을 유치를 통해 [암호화폐 사업자 투자금 먹튀, ICO상장 되지 않음]을 보완하기 위해 나온 조달 방식
판매처 : 중앙화 거래소 플랫폼
판매 당사자 : 해당 거래소
스카트 컨트랙트 관리자 : 해당 거래소
상장 : IEO이후에 해당 거래소에 상장
※ ICO와 다르게 판매하는 거래소 심사절차가 생김
Security Token - STO
Utility Token이 일종의 특정 회사의 쿠폰, 기프트콘이라면 Security Token은 특정 기업에서 창출한 이윤의 N%를 배당금 형식으로 받을 수 있음.
STO(Security Token Offering)
특정 회사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의미하여 외부자산이나 기업의 지분을 나타낼 수 있음
기업은 주식, 채권 및 기타 주식과 동일한 목적을 가진 보안토큰을 발행
※ ICO의 먹튀사례를 개선하기위해 STO를 사용하여 발행자에 대한 의무 등록을 하게 되고 STO가 작동하게 된다면 SEC에 등록되므로 합법적이며 보다 사기로부터 안전
대표적인 예로, 부동산 STO
- 현금화하기 힘든 부동산을 토큰화하여 소유권을 분할 판매
- 소유자들은 임대, 매각차익 등을 나누어 가짐
'보안 및 블록체인 >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리디티(Solidity) 기본 언어/문법 정리 #3, 이더리움 Dapp개발을 위해 - [블록체인] (0) | 2022.01.21 |
---|---|
블록체인 채굴 / 작업 증명 알고리즘 원리 및 개념정리- [블록체인] (0) | 2022.01.18 |
솔리디티(Solidity) 기본 언어/문법 정리 #2, 이더리움 Dapp개발을 위해 - [블록체인] (0) | 2022.01.12 |
솔리디티(Solidity) 기본 언어/문법 정리, 이더리움 Dapp개발을 위해 - [블록체인] (0) | 2022.01.12 |
NFT? ERC? NFT 개념정리 및 전망정리 - [블록체인] (0) | 2021.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