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레저 패브릭 구조 정리 참고 : 하이퍼레적 공식문서의 Key Concept을 참고 https://hyperledger-fabric.readthedocs.io/ ※ 추가로, 기본적인 내용은 설명을 생략했습니다. 0) 사전에 필요한 지식 a. PKI(Public Key Infrastructure)구조 PKI는 Identities의 목록을 제공하고, MSP는 목록중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특정 조직의 구성원을 알려줌 즉, 위 그림에서 PKI는 다양한 유형의 확인 가능한 ID(여기선 카드)를 제공하고, MSP는 상점에서 승인한 카드 공급자 목록으로 / 신뢰할 수 있는 구성원 결정 여기서는 [노랑, 초록, 파랑] 카드 - 전체적인 PKI 구조 - - Hyperledger 또한 PKI표준에 의존 - 디지털 인증서..
하이퍼레저 패브릭 구조 정리 참고 : 하이퍼레적 공식문서의 Key Concept을 참고 https://hyperledger-fabric.readthedocs.io/ ※ 추가로, 기본적인 내용은 설명을 생략했습니다. 1) Ledger의 사실 및 상태 원장에 '비즈니스 객체'를 저장한다는 말은 데이터를 저장한는 것이 아니라 현재 상태에 대한 사실과 현재 상태로 이어진 트랜잭션 이력에 대한 사실을 기록한다는 것임 '비즈니스 객체'의 현재 상태에 대한 사실은 변경될 수 있지만(외부 데이터 저장소에서의 변경은 가능하지만?), 이에 대한 사실의 기록은 변경할 수가없음(블록체인 원장에 기록된 트랜잭션이력의 사실은 변경불가능) * 비즈니스 객체 - 데이터 액세스 및 비즈니스 논리 계층과 함께 작동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이퍼레저 패브릭 구조 정리 참고 : 하이퍼레적 공식문서의 Key Concept을 참고 https://hyperledger-fabric.readthedocs.io/ 1) Peers 피어(Peer)는 블록체인에서 '노드'와 유사한 역할로 Ledger와 Chain코드를 관리하는 역할 패브릭 네트워크는 피어노드로 구성되어 있는데, / 각각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Distributed Ledger와 Chaincode(Smart Contract)사본을 복사하여 보유 ※ P1, P2, P3에 같은 Chaincode 'S1'을 사용해서 Distributed Ledger 'L1'에 복사 2) Ledger & Chaincode - Ledger(레저)는 패브릭 네트워크에서 생성되어 실행되는 모든 트랜잭션을 기록하는 객체 ..
블록체인기반의 투명하고 신뢰성이 보장되는 원격 인증시스템 논문을 정리했습니다. 단순 번역에 대한 내용보다는 전체적인 시스템과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들을 기록하고 추후 제가 다시 확인했을때 참고할 만한 부분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 논문명 : VisTAS: blockchain-based visible and trusted remote authentication system * 저널 : PeerJ- Computer Science * 논문 사이트 : 링크 본 논문이 말하고자 하는부분 다양한 정보시스템에서 관리자는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액세스 권한을 가지고 이는 내부자 위협을 유발시킬 수 있음. 따라서, 조직내에서는 관리자를 신뢰하되 검증하라는 접근 방식이 필요함. 본 논문에서는 불투명한..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해서 내부자 위협을 막고자 연구된 추적 시스템에 관한 논문을 정리했습니다. 단순 번역에 대한 내용보다는 전체적인 시스템과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들을 기록하고 추후 제가 다시 확인했을때 참고할 만한 부분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 논문명 : Tracking the Insider Attacker: A Blockchain Traceability System for Insider Threats * 저널 : MDPI(Multidisciplinary Digital Publishing Institute) - Sensors * 논문 사이트 : 링크 논문구성 소개 (스킵) 배경 및 관련연구 (스킵) 위협모델 (스킵) 시스템 구성 실험 및 토론 결과 ※ 디테일한 내용은 링크에서 논문받..